개발과 계발/python

파이썬 기초 - 자료구조, 리스트 자료형, 리스트 인덱싱, 리스트 슬라이싱, 리스트 데이터 다루기(추가, 삭제)

멈 무 2022. 11. 22. 21:04

주식, 국가이름 : 리스트형

한사람 정보 : 딕셔너리

 

 

 

파이썬 리스트

- 리스트는 [] 대괄호 사용하여 생성

- 리스트 내의 데이터들은 콤마(,) 사용하여 구분

- 틀린거1: 상자 하나씩 들어가있는거 상상하고 ["Python", "Deep Learning"] 이렇게 쓸거를 ["Python"], ["Deep Learning"] 이렇게씀

- 틀린거2: 문자 데이터 넣을 때 " " 안쓰고 그냥 썼음

 

 

 

리스트 안의 데이터 가져오기

 

 

 

리스트 인덱싱

- 리스트의 인덱스를 활용하여 특정 데이터에 접근 가능

- 인덱스는 0부터 시작, 리스트의 길이 -1 까지 존재
  ex) 10개 데이터는  0,1,2, ... 9 

 

 

 

리스트의 IndexError

- 인덱스 범위를 벗어났을 때: 인덱스 0~4까지 있는데 print(course_list[5]) 이런식으로 5번 출력했을때

 

 

 

파이썬 리스트 음수인덱스

- 양수, 음수 2개를 제공

- 음수 인덱스가 있는 이유: 리스트의 크기가 엄~~청 클 때 막 65,841개 있을때 뒷부분 데이터 접근하기에 용이

 

 

 

리스트 슬라이싱

- 0~3 슬라이싱하면 : 0, 1, 2 나옴

 

- "AI" 1개가 출력되더라도 문자형이 되는것이 아니라, 리스트형 데이터 1개가 나온 것

- 음수가 되더라도 양수와 슬라이싱하는 범위가 달라지지 않는다

- 반대로 끝 인덱스 값이 없으면 가장 마지막 데이터까지 사용

- 시작, 끝이 없다면 : 처음부터 끝까지 전체사용

  (암것도 안쓰면 슬라이싱을 안하는것이 아니라 모두 쓰는것 !  ':' 만 있는거 확인하기)

 

 

 

리스트에 새로운 데이터 추가하기 :  append() ,  insert() , extend()

 

insert는 해당 인덱스 데이터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, 오른쪽으로 밀면서 추가함 !!

- append() : 리스트의 가장 마지막에 새로운 데이터 추가

- insert() : 지정한 인덱스에 새로운 데이터 추가

- extend() : 2개의 리스트를 연결(결합)

 

 

 

함수에 대한 간단한 설명

 

 

 

기존 리스트 데이터 변경하기

- insert는 오른쪽으로 밀면서 들어갔다면, 이것은 해당 인덱스 데이터를 변경!

 

 

 

기존 리스트 데이터 삭제하기 -  remove() , pop()

- remove()함수는 명시한 데이터의 첫번째 항목만 삭제

ex) 데이터에 "AI"가 인덱스 1, 3에 있다고 하면 1만 삭제됨

 

- 인덱스를 명시하지 않을 경우 가장 마지막 데이터 삭제 !